지식의 저주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반응을 예상할 때 , 자기가 알고 있는 지식을 다른 사람도 알 것이라는 일종에 고정관념에서 나타나는
인식의 왜곡을 뜻합니다.
무슨 말인지 잘 모르시겠다고요?
이렇게 생각을 한번 해보면 좋을 거 같습니다.
내가 대학교수이다. 엄청난 지식의 소유자이다.
그래서 신입생들을 가르치려고 한다.라고 생각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미 지식의 경지에 높이 오른 당신은 새로운 지식을 터득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에게 제대로 설명하기가 쉽지가 않죠
이미 내가 알고 있는 것으로는 설명이 가능하나 신입생들은 내가 아는 방법을 모르기에 이를 설명하기가 힘이 든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지식이 충분한 당신과 신입생 사이의 교감을 돕기보다는,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죠.
내가 알면 남도 알 거라 생각하는 것이 바로 지식의 저주이다
여기 재미난 실험이 있습니다.
1990년 미국 스탠퍼드 대학의 심리학 전공 대학원생이던 엘리자베스 뉴턴(Elizabeth Newton)은 간단한 실험을 통해 ‘지식의 저주’를 잘 보여 주었다.
뉴턴은 복수의 실험 참가자 표본을 구하고, 각 표본에 속한 사람들을 같은 수의 두 그룹(그룹 1과 그룹 2)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각 표본의 그룹 1에 속한 피험자들에게만 당시 잘 알려져 있던 유행가를 들려주었다.
그다음 표본 별로 그룹 1과 그룹 2에서 각각 1명씩을 선발해 짝을 지은 다음, 그룹 1의 피험자에게는 청취했던 유행가 리듬을 손가락으로 책상을 두드려 각각 자기 짝(그룹 2의 피험자)에게 처음부터 끝까지 들려주라고 시켰다.
이어서 짝(그룹 2의 피험자)에게는 노래 제목을 맞히라는 미션을 주었고, 손가락 리듬을 친 그룹 1의 피험자에게는 짝이 노래 제목을 맞힐 것인가를 판단하라고 주문했다.
결과는 놀랍게도 모든 표본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룹 1의 피험자는 대부분 짝들(그룹 2의 피험자)이 노래 제목을 맞힐 것으로 예상했는데, 훨씬 적은 수의 짝들(그룹 2의 피험자)만이 노래 제목을 맞혔다.
즉, 손가락 리듬을 친 사람은 노래가 익숙한 나머지 듣는 사람이 무슨 노래인지를 쉽게 알아차릴 것이라고 잘못 추정했다는 것이다.
'지식의 저주'라는 말은 1989년 캐머러, 로웬스타인, 웨버 등 3인의 경제학자들이 발표한 유명한 논문 The Curse of Knowledge in Economic Settings : An Experimental Analysis에서 처음 언급되었습니다.
이들은 '정보의 비대칭성'에 관한 기존 경제학 연구의 관행적 오류를 지적했습니다. 기존 연구는, 정보가 풍부한 경제주체와 정보가 부족한 경제주체가 거래할 때 전자가 우월적 지위를 갖기 때문에 유리하다는 관점을 유지해 왔지만 3인의 경제학자들은 정보가 풍부한 경제주체가 더 많은 지식 보유로 인해 역설적으로 손해를 볼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장사 이야기에서 이러한 것들을 왜 이야기를 하느냐 여기부터 중요한 이야기입니다.
장사를 하게 되면 자신의 상품이 최고라는 생각으로 장사를 해야 합니다.
나는 매일 보고 매일 맛을 보고 매일 입어 보니 당연히 나의 제품이 어느 순간 최고로 좋은 제품이라고 착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리뷰를 보고 나의 제품에 문제를 제기하면 여기저기서 오만가지 이유를 찾아 이건 고객이 잘못했다고 알지도 못하면서 이러한 말들을 썼다고 자기가 맞다고 생각을 할 것입니다. 이것이 과연 우리가 장사를 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될까요?고객의 마음을 알고 고칠 수 있는 부분은 고치는 것이 더 좋은 제품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됩니다.https://gogislave.tistory.com/60
https://gogislave.tistory.com/7
'장사이야기 > 장사는 공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틀을 짜서 장사를 해보면 어떨까? (0) | 2022.05.09 |
---|---|
세금을 내느니 내가 다 써버릴꺼야~~ (0) | 2022.05.08 |
아니요!! 저 암소를 00 주세요 (0) | 2022.05.01 |